유럽과 북미에서 주로 발견되는 표범무늬민달팽이가 국내에서도 대규모로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처음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주로 곰팡이와 썩어가는 식물을 먹고 살지만, 농작물에도 피해를 줄 가능성이 있어 앞으로 더 연구가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김평정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어둠이 내린 풀숲 이곳저곳을 손전등으로 비추고 살핍니다. <br /> <br />잎사귀 사이를 들추니 미끈하고 통통한 몸통의 민달팽이가 모습을 드러냅니다. <br /> <br />자세히 보니 검게 촘촘히 박힌 점무늬가 특징인 표범무늬민달팽이입니다. <br /> <br />방금 잡은 표범무늬민댈팽이입니다. 성인 손가락 정도의 굵기와 길이를 가지고 있고 최대로는 20cm까지 자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수풀은 물론 물가에서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고 근처 나무에는 민달팽이가 지나가며 남긴 진액이 반짝거리며 말라붙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원래 유럽과 북아프리카가 원산지인 표범무늬민달팽이가 우리나라에 대규모로 서식하는 것이 공식 확인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아직 우리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줄지 정확히 알지 못한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우리보다 앞선 지난 2006년에 표범무늬민달팽이가 유입돼 지금은 열도 전 지역으로 확산한 일본에서 <br /> <br />23종의 식물 가운데 어떤 종류를 먹이로 좋아하는지 실험했더니, 십자화과 식물의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십자화과에는 배추와 상추, 브로콜리 등 우리가 흔히 먹는 채소가 포함돼 있어 장기적으로 농작물에 피해를 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. <br /> <br />[박영준 / 국립생태원 외래생물팀 선임연구원 : 일본의 사례를 보면 표범무늬민달팽이가 발생을 해서 확산하게 되면 그 지역의 식생이라든지 농업 경제에 굉장히 큰 영향을 미칠 거라고 우려를 하고 있습니다.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로 키우고 있는 농작물에 굉장히 큰 피해가 예상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국립생태원은 표범무늬민달팽이의 먹이 선호도를 포함한 우리 생태계에 끼칠 영향을 관련 예산이 확보되는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연구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국내 유입된 외래종은 지난 2009년 890여 종에서 2021년 2,600여 종으로 12년 사이 3배나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 교류는 물론 가속도가 붙는 기후변화 때문에도 외래종 유입은 더 늘어날 전망인 만큼 더욱 신속한 대처와 폭넓은 연구가 필요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평정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: 이근혁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평정 (pyung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1002054155237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